가곡(3)
-
'소휴 少休' 와 '가종 歌終' - 가곡 창 중간에 '잠깐 쉬는 것'과 '노래 마침'.
정현석의 에서 가곡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다. 가곡 한곡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열거하였다. 초장 제1구이장 제2구삼정 제3 4구,중여음소휴사장( 5구 3자)오장 제 5,6구)대여음가종 초장~~오장은 가곡의 장별 구분이고, 제1구 부터 제5구로 표기한 것은 노랫말, 시조의 구절 배분을 의미한다. 중여음 다음에 '잠깐 쉰다'는 뜻의 '소휴' 라고 표기한 것과, 노래 끝애 '가종'이라 적어 놓은 점이 흥미롭다. 노래 관련 용어 중 '소휴'는 처음 보는 말이다. 아니.. 다른 노래책에서 나올지 여부는 더 확인해봐야 하고, 지금까지. 이처럼 자세히 본 적이 없다는 표현이 옳다.. 가종, 노래 마침은 알겠는데.. '소휴'는 어떻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일까..
2025.02.11 -
'가곡일편 歌曲一編' -' 편가 編歌' -' 가곡일통'
조선후기 가곡을 공연할 때의 기본 프로그램 개념이다. 일단 가곡을 부르기 시작하면 우조로 된 곡 6곡과 계면조로 된 곡 11곡을 이어 뷰르는 것이 기본 형태였고, 이렇게 다 갖춰 부르는 것을 '가곡 일편' 또는 '편가 編歌 '이라고 했다. '편가'라는 것은 '가곡 일편'의 줄임말 일수도 있고, ' 노래 한 세트 묶음 '이라는 듯일 수도 있다. 또 '편'이라는 한자 대신 '통(通)이라는 말을 쓴 예도있다. 즉 '가곡일통 歌曲一通 ' 이다. 공연기획하면서 '가곡 완창발표회', '가곡전곡발표회'..라는 말이 좀 어색하다면가곡일편.. 혹은 가곡일통. 이란 말을 살려 쓰는 것도 고려해봄직하겠다. ..
2025.02.10 -
가절 - 歌節 : 노래의 장단
정현석의 를 읽다가 본 단어이다. 원문에는 '가절은 속칭 장단이다. 대개 장구로 노래의 장단을 '절節' 한다고 되어 있다. 이 설명 뒤에 장구치는 법과 표기가 제시되어 있다. 1) ○-● : 양손으로 동시에 치는 표시 2) ● :채로 치는 표시 3) ○ : 손바닥으로 치는 표시 성무경 역주 172쪽. 각주 542에 "노래의 절주. 장단. 영조 때의 가객 장우벽이 창안했다는 매화점장단을 바탕으로 가곡 장단을 장구로 칠 때의 장단의 점수를 나타낸 것. 계 가집에 보임" 이라고 해석했다. 더 생각해 볼 것은 '절節' 이라는 글자가 여라기지로 풀이될 수 있는 단어라는 점이다. 정현석은 '장단'이라는 말을 두고 왜 굳이 '가절'이라는 용어를 썼을까.
2025.02.10